이 글은 Bas Aarts의 English Syntax and Argumentation의 내용을 재해석하여 정리한 것이며, 위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3. 형태: 단어, 품사, 구 (Form: Words, Word Classes and Phrases)
3.2 명사와 한정사: Nouns and Determiners ◀
3.3 형용사: Adjectives
3.4 동사: Verbs
3.5 전치사: Prepositions
3.6 부사: Adverbs
3.7 접속사: Conjunctions
3.8 감탄사: Interjections
3.E 연습문제: Exercises
오랜만에 블로그를 찾으니, 통사론 관련 검색어로 들어오신 분들이 많더군요. 보잘 것 없는 자료인데, 칭찬과 감사의 말씀을 주신 분들께는 제가 오히려 감사를 드립니다.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통사론을 연구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대학 때 좋아했던 통사론을 취미 삼아 다시 보고 있지요. 따라서 저의 생각은 정답이 아닙니다. 물론 통사론에 정답이란 존재하지 않겠지만요. 그래서 저와 함께 고민할 문제를 주시는 것(질문)은 환영하지만, 과제에 필요하니 특정 챕터의 연습문제 답을 알려달라고 부탁하시는 것은 피해주시면 좋겠습니다.
3.2 명사와 한정사: Nouns and Determiners
탐구에 앞서 먼저 명사(名詞, nouns)를 사전에서는 어떻게 풀어 놓았는지 보겠습니다.
noun [countable]
a word or group of words that represent a person (such as 'Michael', 'teacher' or 'police officer'), a place (such as 'France' or 'school'), a thing or activity (such as 'coffee' or 'football'), or a quality or idea (such as 'danger' or 'happiness'). Nouns can be used as the subject or object of a verb (as in 'The teacher arrived' or 'We like the teacher') or as the object of a preposition (as in 'good at football').
하나의 단어 또는 어군으로 사람, 장소, 사물이나 활동, 또는 성격과 관념을 일컫는다. 명사는 주어 또는 동사의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다.
※ 출처: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사실 27~28페이지에는 자문자답식으로 명사를 정의하는 여러 접근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언어학자들의 특징이라고 할까요? 하하. 아무튼 재미삼아 읽어보시고, 28페이지 세번째 문단부터 명사의 통사적 성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됩니다.
명사는 크게 두 가지의 통사적인 특징을 가지는데, 그 중 하나는 한정사(determiners) 뒤에 놓인다는 것, 나머지 하나는 형용사(adjectives) 뒤에 놓인다는 것입니다. 요약하면 '한정사(D) - 형용사(A) - 명사(N)'의 순으로 배열된다는 것이고, 주의할 점은 명사의 종류(subclasses)에 따라서 한정사나 형용사의 쓰임 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일반명사인 'woman'은 'the beautiful woman'과 같이 쓰일 수 있지만, 대명사인 'she'는 '*the beautiful she'로 나타낼 수 없다는 말입니다.
이제는 자연스레 명사의 세부 분류(subclasses)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겠지요. Aarts 선생이 나누시기를,
출처: Enlgish Syntax and Argumentation (Bas Aarts, p.29)
일반 명사(common nouns)는 이름이 뜻하는 바대로 한정사와 형용사 모두를 취할 수 있어서 'a brand-new computer'과 같은 표현이 가능합니다. 다만 불가산 명사(non-countable 또는 uncountable)는 수량과 관계된 한정사와 함께할 수 없기 때문에 '*two butters'는 불가능한 표현이지요.
고유 명사(proper nouns)는 일반적인 경우 관사와 형용사를 취할 수 없습니다. 특수한 경우에 대한, 즉 'the Simposons'와 같은 예외적 쓰임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고 있군요. 저도 따로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갈 길이 머니까요.
수사(numerals)는 'They divided into twos or threes.'와 같은 경우에 복수처럼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이 일반적인 쓰임은 아닙니다.
자, 이제 문제의 대명사(pronouns) 등장하셨습니다. 'pro'는 라틴어로 'for'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는 군요. 그래서 'pronoun'은 'for a noun' 또는 'instead of a noun'이라는 뜻을 가진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대신할 다른 명사가 없다면, 무엇을(또는 누구를) 나타내는지 도통 알 길이 없지요.
He died. 그는 죽었다.
주어진 맥락이 없다면 도대체 누가 죽었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Aarts 선생께서 제시하는 다음의 두 문장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a) Jim walked into the room and everybody stared at him.
(b) Jim walked into the room and everybody stared at Jim.
이 문장 앞에 특정한 상황이 주어져 있다면 다른 남자일 수도 있지만, (a)의 밑줄 친 'him'은 아마도 'Jim'일 것입니다. 이렇게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c) The exhibition was a success. It ran for six months.
위의 문장에서 밑줄 친 'it'이 지칭하는 대상은 무엇인가요. 'The exhibition'입니다. 그것은 한정사(D)와 명사(N)로 구성된 명사구(noun phrase; NP)이지요. 앞서 등장했던 'Jim' 역시 하나의 명사로만 구성된 명사구(NP)입니다. 대명사가 대신하는 것은 명사가 아니라 명사구입니다.
명사구 (Noun Phrase; NP)
말이 나온 김에 명사구에 대해 살펴보자 하시네요. 명사를 따지는 일보다 명사구가 무엇인지를 따지는 일이 더 많을 것입니다.
다른 구(phrases)도 같겠지만, 명사구는 그 핵(head)이 명사로 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예시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d) the hats
(e) the blue hats
(f) the blue hats on the shelf
이 명사구들은 길이에 상관 없이 대명사 'they'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며, 'hats'라는 명사를 핵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건 없어도 핵은 반드시 명사로 가지고 있어야 명사구입니다.
(g) Hats have always been fashionable.
통사론에서는 위와 같이 복수 명사가 혼자 쓰인 경우도 명사구로 간주합니다. 여기에서 'hats'는 명사이자, 명사구의 핵이자, 명사구입니다.
정리
제목과는 달리 한정사(D)에 관한 논의는 별로 없습니다. 한정사는 명사와 함께 명사구를 이루는 요소이지요. 대명사는 명사구를 대신한다는 것은 꼭 기억하고 넘어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