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 Derivation

파생(derivation)은 접사(affixes)가 덧붙어 다른 의미 또는 다른 품사를 가진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 내는 과정입니다.

a. im + possibleimpossible (= not possible)
b. possible + -itypossibility (adjective → noun)

어휘의 의미를 바꾸는 것은 주로 원래 단어의 앞에 붙는 말들(prefixes)이고, 어휘의 품사를 바꾸는 것은 주로 접미사(suffixes)의 역할입니다.

굴절: Inflection

굴절(inflection)은 접미사(suffixes)에 의한 어휘의 기능 변화를 뜻합니다.

a. be → am / are / is / was / were / being / been
b. apple → apples (복수), apple → apple's (소유격)
c. fast  → faster (비교급), fast → faster (최상급)

굴절형태소는 위에 나타난 8종류(3인칭 단수형 동사 어미 -s, 과거 동사 어미 -ed, 현재분사 또는 동명사 어미 -ing, 과거분사 어미 -ed/en, 복수형 명사 어미 -s, 소유격 명사 어미 -'s, 비교급 어미 -er, 최상급 어미 -est)가 전부입니다.

파생과 굴절: Derivation and Inflection

파생(derivation)이 일어나면 다른 어휘가 되지만, 굴절(inflection)은 어휘 내에서의 변화입니다. 따라서 파생과 굴절이 동시에 나타나는 'realizes'의 경우, 파생이 먼저 일어나 단어가 형성(real + -ize = realize)되고, 그렇게 형성된 단어에 굴절이 일어나 'realizes'가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파생은 굴절에 선행합니다.

그래서 위의 그림처럼 파생은 안쪽 층(inner layer)을, 굴절은 바깥 층(outer layer)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단어가 먼저 만들어진(derivation) 다음, 인칭이나 시제에 따라 변하는 것(inflection)이 당연해 보입니다.

,

형태소의 정의: Definition of Morphmemes

형태론(形態論) 또는 어형론(語形論)이라 불리는 언어학의 갈래는 단어의 모양에 주목합니다. 형태론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는 형태소(morphemes)인데요, Collins Cobuild 사전은 이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mor·pheme /mɔrfim/ A morpheme is the smallest unit of meaning in a language. The words `the', `in', and `girl' consist of one morpheme. The word `girls' consists of two morphemes: `girl' and `s'.

형태소란 언어에서 의미의 최소 단위이다. 'the', 'in', 'girl'은 하나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고, 'girls'는 두 개의 형태소: 'girl'과 's'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사전에서는 의미의 최소 단위라고만 정의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형태소는 의미 또는 문법 기능을 가진 최소의 언어 단위를 말합니다. 3인칭 단수형 굴절 형태소(inflectional M) '-s'는 문법적인 기능은 가지지만 어떤 의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없는데, 이 '-s'와 같은 경우도 형태소의 범주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형태소의 갈래: Classification of Morphmemes

형태소는 크게 두 갈래, 자립형태소(free M)와 의존형태소(bound M)로 나뉘는데, 그 기준은 '혼자서 단어를 이룰 수 있는가'입니다. 'girls'에서 'girl'은 자립이 가능하지만 '-s'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합니다. 그래서 자립형태소(girl)는 어간(stem), 어근(root), 어기(base)라고 불리고, 의존형태소(-s)는 접사(affix)와 같은 말입니다.

자립형태소(free M)는 의미를 가진 형태소(lexical M)와 문법적 기능을 가진 형태소(functional M)로 갈라집니다. 의미형태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 추가되거나 사라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개방 체계(open system)이며, 반대로 언어의 형식과 규칙은 어휘만큼 쉽게 변하는 것이 아니라서 형식형태소를 닫힌 체계(closed system)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의존형태소(bound M)는 어간(stem)에 붙는 접사(affixes)를 뜻하는데, 형식으로 분류하면 접두사(prefixes)와 접미사(suffixes)로 분류할 수 있고, 기능으로 분류하면 파생형태소(derivational M)와 굴절형태소(inflectional M)로 구분됩니다.

,

'inflection'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04.21 파생과 굴절: Derivation and Inflection 4
  2. 2010.04.14 형태소: Morpheme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