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교육과정이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교육을 지향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많은 영어 선생님들은 독해의 중요성을 특별히 강조하고 계십니다. 그분들께서는 "독해가 되면 말하기도, 쓰기도 자연스레 된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고등학생 시절, 엄청난 양의 영어 독해 지문을 읽었던 제가 대학교 1학년 때 얼마만큼 말하고, 얼마만큼 쓸 수 있었는지를 생각해 보면, 제 독해량이 부족했거나, 아니면 독해 위주의 영어교육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일텐데.. 저는 충분한 양 이상을 읽었습니다.
클릭하시면 enligh-to-go.com으로 이동합니다.
그렇다고 읽기를 무시하자는 말은 아닙니다. 읽기 활동이 중심이 되면서도 말하기와 듣기, 쓰기도 함께 가르칠 수 있습니다. 지금 소개드리고자 하는 english-to-go.com은 이러한 취지에 부합하는 훌륭한 읽기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 사이트가 제공하는 1,700여 개의 독해 수업 자료에 접근하려면 $9.99의 이용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하지만, 당장 급하게 수업 자료가 필요하신 분이 아니라면 구입하지 마세요. 이 내용을 토대로 여러분들이 교재를 직접 만들어 수업하시는 편이 훨씬 낫습니다. 여기에서는 이상적인 영어 독해 교재의 구성은 어떤것인가를 보기 위해 enligh-to-go.com의 샘플 자료를 살피고자 합니다.
english-to-go.com은 다섯 수준으로 분류된 1,700여 개의 수업 자료를 제공합니다. 하나의 수업 자료는 1차시 분의 수업을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제공되며, 읽기 전 활동(pre-reading activity)과 읽기 활동(reading activity), 그리고 읽기 후 활동(post-reading activity)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 살펴 볼 샘플 자료는 기초 수준(elementary)의 자료인 'An Eel Pet(애완용 장어)'입니다.
1단계: Diccusion (토론)
Pre-reading Activity인 Disccusion
읽기 전 가장 먼저 할 활동은 이미 제시된 수업의 주제를 보고 주제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는 것입니다. 대화가 자연스럽게 시작될 수 있도록 몇 개의 질문을 준비해 두었습니다.
이 교재는 분명히 읽기 수업을 위한 것이지만, 말하기 활동으로 시작합니다. 이 말하기 활동을 통해 읽을 내용에 대해 미리 추측할 수 있고, 대화 과정에서 모르는 단어를 친구들로부터 배울 수도 있습니다.
2단계: Vocabulary (어휘)
Pre-reading Activity인 Vocabulary
2단계 역시 읽기 전 활동으로, 새로운 어휘에 대한 학습을 합니다. 여기에서는 단어들을 품사별로 정리하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어휘의 대한 이해가 선행되면 읽기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3단계: Predicting (예측)
Pre-reading Activity인 Predicting
읽기 전 활동의 마지막 단계인 예측(predicting)입니다.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질문들을 던집니다. 학생들이 아직 본문을 읽은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틀린 대답을 하겠지만, 분명한 것은 학생들이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찾으면서 글을 읽게 된다는 것입니다. 즉, 생각하면서 읽기(reading for thinking)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4단계: Main Idea (주제)
Reading Activity인 Main Idea
이제 본격적인 읽기 활동이 시작됩니다. 이 자료가 기초 수준을 위한 것이라 본문의 길이는 짧습니다. 학생들이 글의 주제를 찾으면서 읽기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5단계: Sequencing (배열)
Reading Activity인 Sequencing
본문에 등장했던 몇 개의 문장을 분해한 다음, 학생들에게 순서대로 배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도록 합니다. 제시된 활동은 분리된 부분에 숫자를 붙여 가면서 배열하도록 하지만, 직접 쓰도록 하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이는 쓰기 공부와 문법 공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6단계: Reading for Detail (글의 세부내용)
Reading Activity인 Reading for Detail
글의 내용을 다시 읽으면서 글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제시합니다. 제시된 자료는 대명사들이 무엇을 지칭하는가에 촛점을 두고 있습니다.
7단계: Questions (질문)
Reading Activity인 Questions
8단계: Language (어법)
Post-reading Activity인 Language
이제 읽기 후 활동으로 넘어갑니다. 지금 보시는 것은 어법(language)에 관한 내용입니다. 제시된 자료에서는 시제(tense)와 현재 완료상(present perfect)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단지 어법에 관련된 내용만 제시하지 않고 이를 연습할 수 있도록 문제도 준비해 두었습니다.
9단계: Pair Crossword (가로세로 단어 퍼즐)
Post-reading Activity인 Pair Crossword
본문에 등장했던 단어로 가로세로 단어 퍼즐을 합니다. 그냥 하는 것이 아니라, 짝꿍과 함께 합니다. 한 명은 세로의 답만 가지고, 다른 한 명은 가로의 답만 가집니다. 서로가 답을 알기 위해 영어로 단어를 설명해야 합니다. 어휘 학습 뿐만이 아니라 말하기와 듣기 공부도 함께 할 수 있습니다.
10단계: Gap Fill (빈 칸 채우기)
Post-reading Activity인 Gap Fill
빈 칸이 뻥뻥 뚤린 본문을 주어진 단어로 채워 완성하는 활동입니다. 본문의 내용을 복습하면서 동시에 쓰기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11단계: Information Exchange (정보 교환)
Post-reading Activity인 Information Exchange
이제는 네 명이 한 모둠이 되어야 합니다. 이 활동은 각 모둠 구성원이 한 장의 카드를 들고 다른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카드에 적힌 정보를 알아서 표에 기록하는 일종의 놀이입니다.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면서도 말하기와 듣기 공부를 병행할 수 있는 훌륭한 학습 활동입니다.
덧붙이는 말
우리가 학창시절에 사용했던 교과서보다 훨씬 더 재미있는 구성입니다. 물론 지금도 이만큼 알찬 구성의 교과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 교재를 구입하지 마세요. 이번 방학 때에는 보충수업을 나가지 않고 집에서 교재를 만들어 블로그에 하나씩 올려 둘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