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Bas Aarts의 English Syntax and Argumentation의 내용을 재해석하여 정리한 것이며, 위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2. 기능 (機能, Function)

2.1. 주어 (主語, Subject)
2.2. 술부와 술어 (Predicates and Predicators)
2.3. 직접목적어 (直接目的語, Direct Object)
2.4. 간접목적어 (間接目的語, Indirect Object)
2.5. 부가어 (附加語, Adjunct) ◀
2.E  연습문제 (Exercises)

2.5 부가어 (附加語, Adjunct)

부가어의 기능은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문장 내에서 방법(how), 때(when), 장소(where), 이유(why)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1. The bus stopped suddenly.
  2. Shakespeare wrote his plays a long time ago.
  3. They went to the theater in London.
  4. He hates maths because he can't understand it.

예문에서 밑줄 친 부분들이 부가어입니다. 부가어가 될 수 있는 성분들은 부사구(adverb phrase),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 부사절(adverbial clause) 등이 있습니다. 부가어들이 가지는 통사적 특징들을 살펴 봅니다.

  1. I saw this film.
  2. Last year I saw this film.
  3. Last year I saw this film several times.
  4. I saw this film several times last year.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부가어들은 말그대로 부가된 성분이기 때문에 없어도 그만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여러 개가 중첩되어 사용되어도 괜찮습니다.

  1. Greedily Andre ate all the biscuits.
  2. Andre greedily ate all the biscuits.
  3. Andre ate all the biscuits greedily.
  4. *Andre ate greedily all the biscuits.

또한 문장 내에서의 위치마저도 자유롭습니다. 그러나 예문 D에서 처럼 부가어의 위치가 아무리 자유롭다고 해도 술어직접목적어의 사이를 갈라놓을 수는 없습니다. 그들은 매우 끈끈한 관계이니까요.

지금까지 살펴 본 부가어의 통사적 특징을 PSM으로 정리합니다.

  1. 없어도 그만 (Peripheral)
  2. 중첩되어도 괜찮고 (Stacked)
  3. 위치도 자유롭고 (Mobile)
,

'부사'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9.14 부가어 (附加語, Adjunct)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