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Bas Aarts의 English Syntax and Argumentation의 내용을 재해석하여 정리한 것이며, 위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2. 기능 (機能, Function)

2.1. 주어 (主語, Subject)
2.2. 술부와 술어 (Predicates and Predicators) ◀
2.3. 직접목적어 (直接目的語, Direct Object)
2.4  간접목적어 (間接目的語, Indirect Object)
2.5  부가어 (附加語, Adjunct)
2.E  연습문제 (Exercises)


2.2 술부와 술어 (Predicates and Predicators)

문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바로 주부(主部, subject)와 술부(述部, predicate)입니다. 주부는 이전에 다루었던 주어(主語, Subject)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주부는 주어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술부는 문장 내에서 주어 이외의 나머지 부분이며, 술부의 역할이 주어를 서술하는 것이다 보니 반드시 술부의 핵심은 술어(述語, predicator)가 됩니다.

  1. The cat devoured the rat.
    [The cat] [devoured the rat]. → [주부] [술부]
    [The cat] [[devoured] the rat]. → [주부] [[술어] 술부]
  2. The rat devoured the cat.
    [The rat] [devoured the cat]. → [주부] [술부]
    [The rat] [[devoured] the cat]. → [주부] [[술어] 술부]

두 예문 모두 술어로 'devoured'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어와 술어를 제외한 부분, 즉 A에서 'the rat', 그리고 B에서 'the cat'은 술어와 함께 술부에 포함되는데, 이것은 이 부분이 주어보다 술어와 의미상 또는 형식상 거리가 가깝기 때문입니다. 즉, 술어 'devoured'의 의미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인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도 술부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술부에 포함되는 요소들은 직접목적어(直接目的語, Direct Object), 간접목적어(間接目的語, indirect object), 보어(補語, complement), 부가어(附加語, adjunct)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주어보다는 주어의 행위 또는 상태를 설명하는 술어와 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술부에 포함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