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데이터베이스를 정리하면서 재미 삼아 이런 저런 통계를 만들어 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독해 지문의 길이와 관련된 통계를 살피고자 합니다.

현행과 같이 50문제로 실시된 2001년 수능 이후 읽고 푸는 문제에 나타나는 단어의 수입니다. 합성어 등 예외적인 부분 때문에 1% 내외의 오차는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의 수는 같고 듣고 푸는 17개의 문제를 제외하면 33문제이니 이 수치들을 33으로 나누어 다음의 그래프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2001년에 문제 하나당 59개의 단어가 나왔던 반면 2009년, 2010년에는 80개 이상의 단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문의 길이가 40% 이상 길어졌다는 것이죠.

수능 외국어영역은 총 70분 동안 치러지며, 듣기 시간을 대략 20분으로 봤을 때, 50분간 33문제에 등장하는 2천 8백개 이상의 단어를 읽어야 합니다. 따라서 1분에 56단어 이상을 처리해야 합니다. 물론 모든 단어를 다 읽어야만 답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계산에는 답을 찾기 위해 고민하는 시간, 모르는 단어의 뜻을 추리하는 시간, 그리고 OMR 카드에 답을 표기하는 시간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 결론이 그렇게 현실과 먼 이야기는 아닌 듯 합니다.

빠른 독해를 위한 조언

지문이 길어지는 만큼 시간이 부족하다라고 결론을 짓고 끝낸다면 너무 무책임한 듯하여, 빠른 독해를 위한 간단한 조언을 남깁니다. 물론 다독이 최선이겠지만 수능에 영어 과목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좀더 효율적인 연습을 위해 몇 가지만 언급하겠습니다.

1. 스쳐가며 읽기 (Skimming)

주제나 분위기를 묻는 문제처럼 전체적인 의미만 알면 되는 상황에서는, 활강 스키 선수가 기문을 치며 비탈을 내려가듯, 지문을 빠르게 읽습니다. 모르는 단어가 나왔다고 주춤하면 안 됩니다. 대충 그럴법한 뜻이겠거니 넘어가고, 모르는 단어가 수식어구(한정적으로 쓰인 형용사 또는 부사구)라면 없는 셈 치면 됩니다. 읽고 난 후에 머릿속에 "이 글은 이런 내용이구나." 정도만 남겨두면 됩니다.

2. 탐색하며 읽기 (Scanning)

세부 정보를 묻는 문제는 지문보다 답안을 먼저 보고, 답안에서 언급했던 내용만 자세하게 읽습니다. 읽은 내용은 답안과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답안에 표시해 두어야겠지요. 답안에서 언급되지 않은 나머지 내용은 스쳐 읽으면 되겠습니다.

Skimming & Scanning은 아주 널리 쓰이는 훌륭한 읽기 방법이지요. 너무 당연한 것을 저만 아는 것처럼 이야기한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

지난 목요일에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었습니다. 한 해에 두 번 치렀던 94년 수능을 포함하여 벌써 18번째입니다.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작년부터 수능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있는데, 2010 수능의 자료도 추가를 하면서 제가 정리한 재미난 통계를 몇 가지 소개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열 여덟 번의 수능에서 한 번도 빠짐없이 시험지에 등장했던 단어 105개입니다. (단, 듣기 문제에 나왔던 단어는 제외했습니다.)

105개 단어가 전체의 몇%?

18회의 수능에서 총 920문항이 출제되었고, 그 중 272개의 듣고 푸는 문제를 제외한 648문제가 읽고 푸는 문제, 흔히 말하는 독해 문제입니다. 엄밀히 말해 말하고 듣는 기능에 관한 읽기 문제가 있어 독해 문제보다는 읽고 푸는 문제가 더 적절한 표현이지요. 아무튼, 읽고 푸는 648개의 문제에서 60,925개의 단어가 등장했으니, 한 문제에 94 단어가 나오는 셈입니다.

그런데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등장한 105개 단어의 비중은 얼마나 될까요? 무려 31,064회. 전체의 51%가 이 105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지요.

105개 단어 목록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이 자료는 단순히 재미를 위함입니다. 대단한 가치가 있는 자료가 아니라는 점 알고 계셔야 합니다.

Rank Item Stem Sort Appearances Ratio
1  ?  ?  ? 3,394 5.57 %
2  a  a  Determiner 1,892 3.11 %
3  to  to  Preposition 1,847 3.03 %
4  of  of  Preposition 1,737 2.85 %
5  and  and  Conjunction 1,509 2.48 %
6  in  in  Preposition 1,267 2.08 %
7  is  be  Auxiliary 808 1.33 %
8  that  that  Pronoun 719 1.18 %
9  you  you  Pronoun 643 1.06 %
10  I  I  Pronoun 616 1.01 %
11  it  it  Pronoun 607 1.00 %
12  for  for  Preposition 557 .91 %
13  are  be  Auxiliary 481 .79 %
14  they  they  Pronoun 415 .68 %
15  we  we  Pronoun 405 .66 %
16  as  as  Conjunction 401 .66 %
17  was  be  Auxiliary 393 .65 %
18  on  on  Preposition 392 .64 %
19  be  be  Auxiliary 382 .63 %
20  with  with  Preposition 358 .59 %
21  have  have  Possession 316 .52 %
22  not  no  Negation 309 .51 %
23  this  this  Pronoun 301 .49 %
24  their  they  Pronoun 297 .49 %
25  he  he  Pronoun 296 .49 %
26  but  but  Conjunction 295 .48 %
27  or  or  Conjunction 293 .48 %
28  your  you  Pronoun 263 .43 %
29  at  at  Preposition 258 .42 %
30  people  people  People 258 .42 %
31  from  from  Preposition 255 .42 %
32  when  when  Conjunction 247 .41 %
33  by  by  Preposition 246 .40 %
34  an  a  Determiner 239 .39 %
35  can  can  Auxiliary 239 .39 %
36  all  all  Determiner 234 .38 %
37  one  one  Numeral 230 .38 %
38  will  will  Auxiliary 228 .37 %
39  his  he  Pronoun 225 .37 %
40  more  most  Quantity 216 .35 %
41  our  we  Pronoun 191 .31 %
42  what  what  Interrogative 187 .31 %
43  were  be  Auxiliary 183 .30 %
44  if  if  Conjunction 179 .29 %
44  so  so  Conjunction 179 .29 %
46  about  about  Preposition 173 .28 %
47  had  have  Possession 167 .27 %
48  do  do  Auxiliary 166 .27 %
49  there  there  Pronoun 158 .26 %
50  has  have  Possession 155 .25 %
51  she  she  Possession 152 .25 %
52  other  other  Relation 149 .24 %
53  how  how  Interrogative 144 .24 %
54  time  time  Time 141 .23 %
55  its  its  Pronoun 140 .23 %
56  them  they  Pronoun 140 .23 %
57  who  who  Interrogative 137 .22 %
58  many  most  Quantity 132 .22 %
59  some  some  Quantity 132 .22 %
60  would  will  Auxiliary 132 .22 %
61  her  she  Pronoun 128 .21 %
62  out  out  Place 124 .20 %
63  may  may  Auxiliary 123 .20 %
64  than  than  Conjunction 122 .20 %
65  no  no  Negation 121 .20 %
66  which  which  Interrogative 120 .20 %
67  make  make  Make 113 .19 %
68  like  like  Preference 112 .18 %
69  only  only  Quantity 106 .17 %
70  these  this  Pronoun 105 .17 %
71  life  life  Life 104 .17 %
72  me  I  Pronoun 104 .17 %
73  because  because  Conjunction 102 .17 %
74  most  most  Quantity 99 .16 %
75  into  in  Preposition 98 .16 %
76  said  say  Speak 96 .16 %
77  us  we  Pronoun 93 .15 %
78  world  world  World 93 .15 %
79  however  however  Context 91 .15 %
80  over  over  Preposition 91 .15 %
81  work  work  Job 90 .15 %
82  good  good  Value 85 .14 %
83  new  new  Time 82 .13 %
84  even  even  Emphasize 81 .13 %
85  could  can  Auxiliary 80 .13 %
86  should  shall  Auxiliary 80 .13 %
87  know  know  Study 79 .13 %
88  same  same  Similar 79 .13 %
89  much  most  Quantity 78 .13 %
90  also  also  Context 77 .13 %
91  then  then  Context 76 .12 %
92  now  now  Time 75 .12 %
93  use  use  Use 73 .12 %
94  day  day  Time 68 .11 %
95  often  often  Frequency 68 .11 %
96  years  year  Time 67 .11 %
97  made  make  Make 65 .11 %
98  every  every  Frequency 60 .10 %
99  take  take  Possession 59 .10 %
100  things  thing  Object 58 .10 %
101  need  need  Need 56 .09 %
102  something  thing  Pronoun 49 .08 %
103  find  find  Find 44 .07 %
104  best  good  Value 43 .07 %
105  those  that  Pronoun 42 .07 %

 

3천 번도 넘게 등장했던 1위 단어는 무엇일까요?

,